박승진 (194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승진은 1941년에 태어난 북한의 축구 선수로, 1966년 FIFA 월드컵에 북한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참가했다. 그는 칠레와의 조별리그 경기와 포르투갈과의 8강전에서 각각 1골을 기록했다. 1966년 월드컵 이후 간첩 혐의로 12년간 요덕 수용소에 수감되었으며, 2002년 영화 《기적의 11인》에 출연했다. 2011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자 축구 선수 - 박성철 (축구 선수)
박성철은 리명수체육단 소속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선수로, AFC 챌린지컵 득점왕 및 우승 기여, AFC 프레지던트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비사카 FC로 이적하여 해외 리그에도 진출, FIFA U-20 월드컵에도 출전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남자 축구 선수 - 한광성
한광성은 1998년생 북한 축구 선수로 평양국제축구학교 출신이며, 유럽 클럽의 관심을 받으며 이탈리아 세리에 A 칼리아리 칼초에서 데뷔하여 북한 선수 최초로 세리에 A 득점을 기록했고, 현재는 4.25체육단 소속으로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북한 국가대표팀으로 복귀하여 활동 중이며, 뛰어난 드리블 능력과 득점 감각으로 유명하지만 정치적 영향으로 논란과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박성철 (축구 선수)
박성철은 리명수체육단 소속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선수로, AFC 챌린지컵 득점왕 및 우승 기여, AFC 프레지던트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비사카 FC로 이적하여 해외 리그에도 진출, FIFA U-20 월드컵에도 출전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한광성
한광성은 1998년생 북한 축구 선수로 평양국제축구학교 출신이며, 유럽 클럽의 관심을 받으며 이탈리아 세리에 A 칼리아리 칼초에서 데뷔하여 북한 선수 최초로 세리에 A 득점을 기록했고, 현재는 4.25체육단 소속으로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북한 국가대표팀으로 복귀하여 활동 중이며, 뛰어난 드리블 능력과 득점 감각으로 유명하지만 정치적 영향으로 논란과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6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펠레
펠레는 에드손 아란치스 두 나시멘토라는 본명으로 브라질에서 태어나, 산토스 FC와 브라질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FIFA 월드컵 3회 우승과 1,000골 이상 기록을 세운 "축구 황제"로 불린 전설적인 축구 선수이다. - 196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잔니 리베라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축구 선수 잔니 리베라는 AC 밀란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수많은 우승컵을 들어올리고 발롱도르까지 수상했으며,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서도 굵직한 업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정치인으로도 활동하며 이탈리아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박승진 (1941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승진 |
출생일 | 1941년 1월 11일 |
출생지 | 원산시, 일본 제국, 한국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사망일 | 2011년 8월 5일 (향년 70세) |
포지션 | 공격수 |
신장 | 168cm |
몸무게 | 68kg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알 수 없음 |
소속 클럽 | 모란봉체육단 |
클럽 활동 기간 | 1965-1974 |
출장 횟수 | 271 |
득점 횟수 | 789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국가대표 활동 기간 | 1965-1973 |
국가대표 출장 횟수 | 12 |
국가대표 득점 횟수 | 6 |
기타 정보 | |
유튜브 영상 | The Game of Their Lives |
관련 웹 아카이브 | FIFA 월드컵 아카이브 |
사망 관련 기사 | E' morto Pak Seung-Zin Chollima Football Fans |
2. 선수 시절
박승진은 북한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6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참가했으며, 이후 대니얼 고든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천리마 축구단>에 출연했다.
탈북자 강철환은 저서 ''평양 수족관''에서 요덕 정치범 수용소에서 박승진을 만났다고 주장했다. 강철환에 따르면, 1966년 이탈리아전 승리 후 선수들과 술집에서 축하한 것이 "부르주아적 타락"으로 여겨져 20년 이상 수용소에 있었다고 한다.[5][6] 그러나 영화 ''그들이 잊지 못할 경기''에서 박승진과 선수들은 이를 부인했다.[7][8]
월드컵 후, 간첩 혐의로 12년간 요덕 수용소에 수감되었다는 주장이 있다.[11] 이는 갑산파 박금철 숙청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2002년 영화 『기적의 11인 [1966년 월드컵 북한 VS 이탈리아전의 진실]』에 출연했지만, 노동당 정권에 대한 비판은 없었다. 2011년에 사망했다.
2. 1. 1966년 FIFA 월드컵 활약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참가하여 칠레와의 4조 조별리그 2차전과 포르투갈과의 8강전에서 각각 1골씩 기록하였다.소련과의 첫 경기에서는 득점이 없었지만, 칠레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88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이는 북한 대표팀의 월드컵 첫 골이자, 아시아 전체로도 월드컵 첫 골이었으며, 월드컵 통산 700번째 골이기도 했다[10]。 이 골은 북한 대표팀 및 아시아의 첫 결선 토너먼트 진출로 이어졌다. 포르투갈과의 월드컵 8강전에도 출전하여 1골을 넣었다.
2. 2. 훈련 방식
천리마 축구단에 출연한 한봉진의 증언에 따르면, 박승진은 발목에 고무줄을 매어 손으로 잡고 오른발 1,000번, 왼발 1,000번씩 차는 연습을 하며 하체를 단련했다고 한다.3. 월드컵 이후
1966년 FIFA 월드컵 이후 박승진은 간첩 혐의로 요덕 정치범수용소에 수감되었다는 논란이 있었다. 2002년 영화 『기적의 11인 [1966년 월드컵 북한 VS 이탈리아전의 진실]』에 출연했지만, 노동당 정권에 대한 비판은 일절 하지 않았다. 2011년에 사망했다.
3. 1. 요덕 수용소 수감 논란
1966년 FIFA 월드컵 이후 박승진이 간첩 혐의로 요덕 정치범수용소에서 12년간 강제노동을 하였다는 주장이 있다.[12] 그러나 천리마 축구단에 출연했을 당시에는 고위층으로 출세하여 훈장을 많이 달고 있었으며 잘 살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수용소에 있었던 사람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반론도 있다.탈북자 강철환은 자신의 저서 ''평양 수족관''에서 요덕 정치범수용소에서 박승진을 만났다고 주장했다. 강철환에 따르면, 박승진은 1966년 팀의 다른 선수들과 함께 이탈리아와의 경기 승리를 술집에서 축하한 것이 북한 관리들에게 "부르주아적 타락의 징후"로 여겨져 투옥되었으며, 20년 이상 수용소에 있었다고 한다.[5][6]
그러나 다큐멘터리 영화 ''그들이 잊지 못할 경기''에서 박승진과 다른 선수들은 인터뷰를 통해 어떠한 보복도 없었다고 부인했다.[7][8]
갑산파의 박금철 숙청의 영향으로 요덕 수용소에 12년간 수감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1]
3. 2. 갑산파 숙청 연루설
1966년 FIFA 월드컵 이후, 박승진은 간첩 혐의로 요덕 정치범수용소에서 12년간 강제 노동을 했다는 설이 있다.[12] 그러나 천리마 축구단에 출연했을 당시에는 고위층으로 출세하여 훈장을 많이 달고 있었고 잘 살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수용소에 있었던 사람이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월드컵이 끝난 후, 박승진은 간첩 혐의로 12년간 요덕 수용소에 수감되었는데,[11] 이는 지원을 했던 갑산파의 박금철 숙청의 영향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3. 3. 사망
박승진은 월드컵이 끝난 후, 간첩 혐의로 12년간 요덕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1] 이는 그가 지원했던 갑산파의 박금철 숙청의 영향 때문이라고 여겨진다.2002년 영화 『기적의 11인 [1966년 월드컵 북한 VS 이탈리아전의 진실]』에 출연했지만, 노동당 정권에 대한 비판은 일절 하지 않았다. 2011년에 사망했다.
4. 주요 대회 성적
대회 | 결과 |
---|---|
1966년 FIFA 월드컵 | 8강 |
# | 개최일 | 개최지 | 상대 국가 | 결과 | 대회 |
---|---|---|---|---|---|
1 | 1965년 11월 21일 | 프놈펜 | 오스트레일리아 | 6-1 | 196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2 | |||||
3 | 1965년 11월 24일 | 3-1 | |||
4 | 1966년 7월 15일 | 잉글랜드 미들즈브러 | 1-1 | 1966년 FIFA 월드컵 | |
5 | 1966년 7월 23일 | 잉글랜드 리버풀 | 포르투갈 | 3-5 | |
6 | 1973년 5월 11일 | 이란 테헤란 | #転送 | 1-2 |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템플릿이 제거되었고, 국가 이름이 한국어 위키백과 표기에 맞게 수정되었습니다. 또한, 불필요한 rowspan 속성이 제거되었습니다.
5.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 | 개최일 | 개최지 | 상대 국가 | 결과 | 대회 |
---|---|---|---|---|---|
1 | 1965년 11월 21일 | 프놈펜 | 호주 | 6-1 | 196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2 | |||||
3 | 1965년 11월 24일 | 3-1 | |||
4 | 1966년 7월 15일 | 잉글랜드, 미들즈브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1 | 1966년 FIFA 월드컵 |
5 | 1966년 7월 23일 | 잉글랜드, 리버풀 | 포르투갈 | 3-5 | |
6 | 1973년 5월 11일 | 이란, 테헤란 | 이란 | 1-2 |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
참조
[1]
뉴스
세계축구선수권대회 8강 다룬 <동방의 첫 축구강국> 출판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3-02-26
[2]
Youtube
The Game of Their Lives
https://www.youtube.[...]
[3]
웹사이트
Copa do Mundo da FIFA Inglaterra 1966
http://pt.fifa.com/w[...]
[4]
웹사이트
E' morto Pak Seung-Zin Chollima Football Fans
http://calciocorea.a[...]
Calciocorea.altervista.org
2012-04-25
[5]
웹사이트
North Korean Soccer Unveiled
https://www.npr.org/[...]
The New Republic
2009-12-09
[6]
뉴스
Ricordate la Nord Corea che battè l'Italia? Beh, la squadra finì in un lager perché osò far festa
http://www.kattoliko[...]
2001-06-11
[7]
뉴스
Korea boys of '66 are alive and kicking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1-11-12
[8]
뉴스
1966 World Cup Upstarts Absent but Not Forgotten
https://www.latimes.[...]
2002-06-22
[9]
웹사이트
http://calciocorea.a[...]
[10]
웹사이트
http://www22.ocn.ne.[...]
[11]
웹사이트
http://news.naver.co[...]
[12]
뉴스
박지성을 능가할 뻔했던 비운의 북한 축구영웅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9-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